티스토리 뷰
목차
SC제일은행이 최고 연 4.10% 정기예금이 출시되면서 시중은행에서 연 4%대 정기예금이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시중의 자금이 다시 은행으로 돌아오고 있다고 하는데요, 예금금리 인상이 은행 조달비용을 증가시켜 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도 있습니다. 이에 따라 예금금리 상승에 따른 배경과 영향, 부작용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시중은행의 예금금리 인상 움직임
시중은행 예금금리 인상 움직임에 저축은행도 4%대 예금을 잇달아 내놓으면서 수신 경쟁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고금리 예금 등장에 시중의 자금은 다시 은행으로 돌아오고 있습니다.
SC제일은행의 ‘e-그린세이브예금’
7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정기예금(12개월) 상품 가운데 최고금리가 연 4%를 넘는 상품은 SC제일은행의 ‘e-그린세이브예금’(4.10%)입니다. 이외에도 DGB대구은행의 ‘DGB 함께 예금’(4.05%), Sh수협은행의 ‘Sh 첫 만남우대예금’(4.02%), BNK부산은행의 ‘더(The) 특판 정기예금’(4.00%), DGB대구은행의 ‘IM스마트예금’(4.00%) 등 이 있습니다.
5대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금리 상승
5대 시중은행(KB금융·신한·하나·우리·농협) 정기예금 금리는 연 3.50~3.85%로 상승했습니다. 두 달 전까지만 해도 연 3.47~3.73% 수준이던 금리 상하단이 0.10% 포인트 상승한 결과입니다..
저축은행의 반응
시중은행 정기예금이 오르자 저축은행도 고객 이탈을 막기 위해 금리를 올리고 있습니다.
저축은행의 정기예금 평균금리 상승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79개 저축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평균금리는 연 4.15%로 전달( 4.03%)과 비교했을 때 평균금리가 0.12% 포인트 뛰었습니다. 실제 저축은행이 취급하는 예금상품 322개 중 61%인 197개가 4% 이상 금리를 주고 있습니다. DH저축은행은 연 4.55%의 정기예금을 내놨고, BNK저축은행, HB저축은행, JT저축은행은 연 4.50% 정기예금을 취급하고 있습니다.
정기예금 금리 상승의 배경
최근 정기예금 금리의 상승 배경에는 여러 요인이 있지만 크게는 은행권이 채권금리가 오르며 수신을 통한 자금조달에 나섰기 때문입니다. 예금금리의 준거금리가 되는 은행채(AAA·무보증) 1년물 금리가 상승하고 있고, 지난 5일 은행채 1년물 금리는 3.87%로 전달(3.78%) 대비 상승했습니다.
미국 국고채 금리의 영향
미국의 국고채 금리 상승이 한국의 은행채 금리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지난 5일 기준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4.268% 였습니다. 올해 들어 미 국채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연이은 기준금리 인상으로 고공행진하더니 지난 8월에는 11년 만에 최고치를 찍기도 했습니다. 미 국채 금리는 한국 은행채 금리에 영향을 미칩니다.
유동성 규제와 예대율 규제의 영향
유동성 규제와 예대율(예수금 대비 대출 비율) 규제가 7월부터 정상화된 점도 은행권의 자금 확보 중요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금융 당국은 코로나19 때 은행의 자산 활용을 늘리기 위해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규제를 85%까지 낮췄지만 올해 말까지 95%, 100%로 올리며 순차 정상화하고 있습니다. 또 레고랜드 사태 등 자금시장 경색으로 105%까지 올렸던 예대율 규제 역시 지난 7월 100%로 정상화됐기 때문입니다. 유동성 규제가 강화하고 대출 비율이 줄어들며 은행권의 자금 확보가 중요해지자 이에 따라 고금리 예금상품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역 머니무브’ 현상의 등장
예금금리 상승에 따라 시중의 자금이 은행으로 다시 돌아가는 '역 머니무브' 현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5대 은행의 총 수신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으로 10조 2025억 원 증가했습니다. 그중 정기예금 잔액은 7월 말부터 8월 말까지 11조 9859억 원 증가했고, 같은 기간 정기적금은 1조 294억 원 늘어났습니다. 정기예금 잔액은 지난 4월부터 증가세를 보이더니 지난 7월에 이어 두 달 연속 10조 원 이상 불어났습니다.
예금금리 상승의 부작용
예금금리 상승은 은행의 조달비용 증가와 대출금리 상승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예금금리 상승은 차주의 이자 부담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은행의 변동형 대출금리의 준거 금리인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의 상승으로 이어집니다. 코픽스는 국내 8개 은행의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로 결정됩니다. 지난 7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3.69%로 지난 4월(3.44%)과 비교했을 때 0.25% 포인트 올랐습니다.
은행권의 전망
은행권 관계자는 4%가 넘는 예금상품이 계속 출시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습니다. 그러나 지난해의 경우 은행채 발행이 어려워 은행이 예금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지만 지금은 그렇지가 않아 계속해서 고금리 예금상품이 출시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결론
시중은행과 저축은행의 예금금리 상승 움직임은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은행권의 자금조달 전략과 국제 금리 상황, 그리고 국내의 금융 규제 등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요인들이 예금금리의 움직임을 좌우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FAQs
- SC제일은행의 ‘e-그린세이브예금’ 금리는 얼마인가요?
연 4.10%입니다.
- 5대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금리는 어떻게 변화하였나요?
연 3.50~3.85%로 상승하였습니다.
- 저축은행의 정기예금 평균금리는 어떻게 되나요?
연 4.15%입니다.
- ‘역 머니무브’ 현상이란 무엇인가요?
예금금리 상승에 따라 시중의 자금이 은행으로 다시 돌아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 코픽스의 최근 상승률은 어떻게 되나요?
지난 7월 신규 취급액 기준 3.69%로 상승하였습니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 초보자를 위한 가이드: 현명한 자산 관리 시작하기 (0) | 2023.11.17 |
---|---|
경기청년기회사다리금융: 바로 알아보기 (0) | 2023.10.18 |
공매도란? 투자전략과 함께 알아보기 (0) | 2023.07.30 |